-
서양음악사 - 중세시대인문학 탐구: 삶의 지혜 모으기 2024. 3. 20. 22:58
서양음악사 - 중세시대
목차
교회 음악의 발전
그레고리오 성가
네우마 기보법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귀도 손바닥 악보
계명창(Solmization) 발명
최초 계이름의 발견
중세시대에는 로마 황제였던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가 이전에 기독교 신앙을 핍박하던 입장에서 종교적인 예배나 제의에 대해 로마 제국이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는 입장으로 바뀌게 되어서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고, 종교적 자유가 보장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세시대의 음악 분야에서 영향을 미쳤습니다.
교회 음악의 발전기독교 교회에서는 예배와 종교의식을 위한 음악이 중요시되었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그레고리우스 1세는 그 당시 넓은 영토의 유럽 지역에 각기 다른 언어로 구전되던 성가들을 정리하고 표준화했습니다.
중세 시대의 기독교 음악 역사와 깊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그레고리안 성가가 유럽의 교회 음악의 주요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음악은 교회의 예배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유럽 전역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가는 성가집(약속된 성가 모음집)에 기록되어 있었고, 성당에서 성당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주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예배의 여러 부분에서 쓰이며, 그레고리안 대성가, 진행성가, 그리고 기타 부속적인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노포니(Monophony)
그레고리안 성가는 대부분의 선율적으로 단일 음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중 음성이 아닌 한 가지 선율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라틴어
대부분의 그레고리안 성가는 라틴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는 중세 가톨릭 교회의 공식 언어였으며, 그 시대의 유럽에서 학문과 예배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무반주
신이 만든 가장 뛰어난 악기로 생각했던 인간의 목소리를 중요시하였으며, 악기는 가사전달을 방해가 된다고 하여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성가 합창
교회 음악은 종교적 의식을 더욱 높이기 위해 성가 합창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이것은 대규모 교회 음악 공연을 가능하게 하였고, 교회 음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음악 교육의 확대
기독교 교회가 성장하면서 음악 교육도 중요시되었습니다. 교회에서는 목회자와 성직자들을 위해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등, 음악 교육의 확대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기독교가 로마 제국 내에서 지위를 확보하면서 음악 분야에서도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네우마 기보법교회 음악에서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고 음악의 음높이와 음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기호로 구성되었습니다. 중세시대의 네우마 기보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정확성과 표기의 일관성 면에서 현재의 악보에 비해 제한적이었습니다.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귀도 다래초(Guido d'Arezzo)는 11세기 이탈리아의 음악가이자 음악 교육자로, 중세 시대의 음악 이론과 기보법의 개발에 큰 기여를 한 인물입니다. 그의 이름은 중세시대 음악 교육의 발전에 불가피한 존재로 인식되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음악 교육과 이론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남아 있습니다.
귀도 손바닥 악보
그는 합창단 아이들에게 노래를 가르치기 위해 손바닥에 계이름을 표시하여 악보를 만들었습니다.
손바닥 악보로 누구나 쉽게 손바닥을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었습니다.계명창(Solmization) 발명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는 이전에는 새로운 성가곡을 모노코드 방식으로 하나하나 비효율적이게 한 음씩 소리를 들려주며 듣게 해 주어 가르쳤지만 한계를 느꼈던 그는 처음 접하는 성가곡을 누구나 쉽게 선율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을 발명했습니다.
최초 계이름의 발견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는 음악을 가르치기 위해 음계를 익히는 방법을 연구하다가, 누구나 음계를 기억하고 구별하기 위해 음의 이름을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했는데 ‘Ut queant laxis" (너의 시종들이 마음껏)이라는 노래의 각 문장의 첫 음들이 한음씩 높아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Ut queant laxis
(너의 시종들이 마음껏)
Ut queant laxis
Resonare fibris
Mira gestorum
Famuli tuorum,
Solve polluti
Labii reatum,
Sancte Iohannes.
여기서 'Ut'은 '도'에 해당하고, 're'는 '레', 'mi'는 '미', 'fa'는 '파', 'sol'은 '솔', 'la'는 '라'를 의미합니다.
현대 음악에서는 '도'부터 '시'까지의 7개 음계를 나타내는 도레미파솔라시로 형성되었습니다.
중세시대는 교회음악이 중심을 이루며, 오늘날 도레미파솔라시도~ 계이름이 최초로 발견되었던 시기였습니다.
당시의 사람들이 신앙과 예술,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했는지를 엿보게 해 줍니다.'인문학 탐구: 삶의 지혜 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음악사 - 바로크시대 (1) 2024.03.25 서양음악사 - 르네상스시대 (0) 2024.03.22 서양음악사 - 고대시대 (2) 2024.03.20 봄의 별들의 축제, 사자자리 (1) 2024.03.16 여름밤 사랑의 찬가, 거문고자리 (2)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