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음악사 - 바로크시대인문학 탐구: 삶의 지혜 모으기 2024. 3. 25. 23:47
서양음악사 - 바로크시대
목차
바로크 오페라의 선구자
오르페오(Orfeo)의 모티브
안토니오 비발디
비발디의 사계
음악의 아버지 바흐
음악의 어머니 헨델바로크 음악은 17세기와 18세기의 유럽 음악을 대표하는 양식으로, 화려하고 복잡한 선율과 조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바로크'란 포르투갈어로 "찌그러진 진주"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의 음악은 특히 기악과 성악 모두에서 뛰어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바로크 음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대규모 작품의 등장으로,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이용한 대단원의 작품들이 많이 작곡되었습니다. 또한, 협주곡, 심포니아, 칸타타, 오라토리오,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와 형식이 발전하였습니다.
그릐고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철학적 변화를 반영하면서 독창적이고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예술적 창의성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랑받고 연주되고 있습니다.
바로크 오페라의 선구자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의 이탈리아 작곡가로, 바로크 음악의 선구자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오르페오(Orfeo)"는 오페라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몬테베르디는 이 작품에서 새로운 음악적 기법을 도입하고, 인물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도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이 작품은 오케스트라와 보컬 음악을 조화롭게 결합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천재성이 여기서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그가 작곡가로서의 몬테베르디의 명성을 높이고, 오페라 장르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리고 1607년에 이탈리아 프라토 델프리아에서 프라토 가문의 결혼 기념으로 연주되었으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이탈리아와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널리 공연되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오르페오"는 국제적으로 공연되며, 그의 음악적 유산은 음악사에 길이 남아있습니다.
오르페오(Orfeo)의 모티브
"오르페오"는 그리스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이야기로, 오르페우스와 그의 사랑하는 아내 에우리디체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오르페우스는 그리스의 뮤즈 칼리오페의 아들로,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가 연주하는 음악은 동물들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매혹적이었고, 그의 소리는 모든 것을 감동시켰다고 전해집니다.
어느 날 그는 에우리디체와 사랑에 빠졌고, 그들의 결혼식은 아름다운 음악과 함께 열렸습니다. 그러나 행복은 잠시, 결혼식이 끝나고 산책하는 도중 에우리디체가 뱀에게 물려 죽게 되어서 절망에 빠졌습니다.
오르페우스는 지하 세계의 왕인 하데스의 도움을 받아 에우리디체를 되살리기로 결심한 뒤 무적의 음악적 재능을 이용해 지하 세계로 내려가 에우리디체를 찾았습니다. 하데스는 오르페우스의 노래에 감동받아 에우리디체를 되돌려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조건이 있었습니다. 하데스는 에우리디체를 되돌려줄 테지만, 오르페우스는 지상으로 돌아갈 때 그녀를 돌아보면 안 된다는 조건을 제시하여 받아들이고 에우리디체와 함께 지상으로 향했습니다. 그러나 도중에 그는 그녀가 따라오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뒤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이 작은 실수로 인해 에우리디체는 그의 눈앞에서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이후 절망에 빠져 다시는 행복을 찾지 못했고, 결국 그의 몸은 여러 뱀들에게 찢겼습니다. 그러나 오르페우스의 영혼은 에우리디체와 다시 결합하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 신화는 사랑과 죽음, 그리고 인간의 욕망과 운명에 대한 이야기로 오페라에서 모티브가 되었다고 합니다.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1678-1741)는 바로크 음악의 중요한 작곡가로서, 그의 창의성과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인해 그의 작품들은 그 시대에 큰 사랑을 받았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비발디의 음악은 다양한 장르와 형식에서 작곡되었는데,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협주곡입니다. 그의 협주곡은 그의 특유의 화려하고 풍부한 멜로디, 뛰어난 기술적 솜씨, 그리고 다양한 악기들 간의 조화로 유명합니다. 특히, 그의 "사계"는 그의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계절의 아름다움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바로크 음악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비발디는 성악곡과 카톨릭교회의 오페라의 오라토리오 작곡가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오라토리오 "예수의 부활"은 그의 종교적인 신념과 예술적 재능을 결합한 작품으로, 그의 음악적 표현력과 깊은 감정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그의 성악곡 "글로리아"는 그의 음악적 스타일과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비발디의 작품은 그의 창의성과 음악적 천재성을 통해 바로크 음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비발디의 사계
비발디의 "사계"는 그의 음악적 천재성과 뛰어난 작곡 기술이 빛을 발하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네 개의 협주곡으로 구성되어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다루고 있으며, 자연의 계절과 감정을 표현한 프로그램 음악의 걸작입니다. 화려하고 다채로운 멜로디: 비발디는 각 계절의 특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풍부하고 화려한 멜로디를 사용합니다. 봄에는 싹트는 식물과 새들의 지저귐을, 여름에는 더운 날씨와 푸른 하늘을, 가을에는 수확과 낙엽이 떨어지는 소리를, 겨울에는 서늘하고 차가운 분위기를 음악으로 그려냅니다. 다양한 악기의 활용: "사계"는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여 자연의 소리를 효과적으로 재현합니다. 비발디는 각 계절에 적합한 악기들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조화시키는데, 이는 각 곡의 분위기와 특색을 부각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뛰어난 화성과 구조: 비발디의 화성은 그의 작품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의 음악은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반복적인 패턴과 대조를 통해 듣는 이의 이목을 끌고, 작품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풍부한 감정 표현: 각 계절의 음악은 자연의 변화와 함께 인간의 감정과 연결됩니다. 비발디는 음악을 통해 사계의 변화에 따른 감정을 표현하고, 청자들에게 생생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처럼 비발디의 "사계"는 그의 음악적 천재성과 예술적 재능이 결합된 걸작으로, 바로크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1685-1750)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로, 바로크 음악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바흐는 다양한 장르와 형식에서 작곡하였지만, 그의 오르간 음악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오르간 조곡은 기술적 능력과 창의성을 잘 보여주며, 오르간 음악의 최고 수작 중 일부로 꼽힙니다. 또한, 그의 칸타타, 협주곡, 돌림노래와 비슷한 형태를 지닌 푸가와 같은 작품들도 바로크 음악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바흐의 음악은 복잡하고 심오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음악적 표현력은 매우 다채롭고 깊이 있으며 종종 순수한 음악적 재능과 종교적인 열정의 결합으로 설명되며, 이는 그의 작품을 특별하게 만들어 줍니다. 그의 음악은 생전에는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의 죽은 뒤에야 그의 위대함이 인정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19세기에 다시 발견되고 평가되었으며, 그의 영향은 음악사에 큰 흔적을 남겼으며 오늘날에도 음악인들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바흐의 작품
브랜덴부르크 협주곡(Brandenburg Concertos)
바흐가 안나 마가레타 공작부인에게 바치기 위해 쓴 이 작품은 바로크 음악의 진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협주곡집입니다. 총 여섯 개의 협주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악기들 간의 환상적인 상호작용과 풍부한 화성학이 돋보입니다.
마타이 수난곡(Matthew Passion)
이 작품은 그의 성경적인 음악 중 가장 높이 평가되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수난을 다룬 수난곡으로, 감동적인 성가들과 함께 바흐의 음악적 천재성과 종교적 열정이 동시에 발휘되는 작품입니다.
골드베르크 변주곡(Goldberg Variations)
이 작품은 바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큰 피아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총 30개의 변주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변주는 다양한 화성적, 기술적 특징을 보여줍니다.
변주(Variation)란, 하나의 주제나 멜로디를 가져와서 그것을 변형시켜 새로운 형태로 다양하게 표현하는 음악 형식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주제나 멜로디의 핵심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 리듬, 화성, 음색, 조화 등을 변화시켜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변주는 작곡가의 창의성과 기술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화성(Harmony)은 음악에서 음의 조합과 진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화성은 음악 작품에서 여러 음이 동시에 연주되거나 연속적으로 연주될 때, 그 음들 간의 관계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화성은 음악의 감정과 분위기를 조성하고, 음악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Christmas Oratorio)
이 작품은 바흐가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여 작곡한 (성경이야기 바탕으로 종교적인 성악) 오라토리오로, 성탄절 기간에 맞추어 연주되는 작품입니다. 바흐의 다양한 합창, 솔로 부분, 오케스트레이션 기법이 돋보이며, 그의 종교적 열정과 음악적 영감이 잘 드러납니다.
음악의 어머니 헨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은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독일 작곡가이자 영국 음악의 중심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작품은 오늘날까지도 널리 연주되고 존경받고 있으며, 그의 음악은 바로크 음악의 정점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헨델은 독일 하일리겐탈(Halle)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을 드러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음악을 배우지 않도록 반대했지만, 그는 음악의 길을 선택하고 이탈리아로 여행하여 작곡과 연주를 공부했습니다. 이후 그는 영국으로 이주하여 로페라와 오페라를 작곡하고 연주하며 영국 국적을 취득했습니다.
헨델의 음악은 그의 풍부한 멜로디,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그리고 다양한 형식의 실험 등으로 특징 지어집니다. 그의 음악은 그의 생애 동안과 그 이후에도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헨델의 작품
메시아(Messiah)
성악곡의 걸작으로 꼽히며,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그의 종교적 음악 중에서도 가장 유명하며, 크리스마스 시즌에 공연되는 것이 전통입니다.
왕궁의 불꽃놀이
1749년에 영국 런던의 그린위치 왕립 공원에서 열린 조지 2세의 왕궁에서 연주된 공연을 기념하기 위해 작곡한 음악입니다. 이 작품은 왕조의 영광을 기념하고 축하하기 위해 특별히 규모 있는 불꽃놀이 행사와 함께 연주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축하와 경축의 분위기를 담고 있으며, 화려하고 화목한 음악적 풍경을 그립니다. 이 작품은 헨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되며, 오늘날에도 장엄한 행사나 축제에서 자주 연주됩니다.
수상음악(Water Music)
영국 왕조를 위해 작곡된 군악곡으로, 축제의 역사적인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 헨델에 의해 구성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두 대의 오케스트라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의 흐름과 우뢰 소리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음악적 효과를 사용하여 물의 힘을 표현합니다 바로크 음악의 명작 중 하나로 평가되며, 화려하고 활기찬 음악으로 유명합니다.
사라방드(Sarabande)
헨델의 수많은 수작 중 하나로, 그의 피아노 음악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그의 음악적 천재성과 깊은 감정을 잘 보여주는 곡입니다.
제1번 독주 협주곡(Concerto Grosso No. 1)
헨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협주곡의 형식을 완벽하게 구사하면서도 그의 특유의 멜로디와 오케스트레이션을 잘 보여줍니다.
바로크음악을 통해 우리는 당대의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엿볼 수 있으며, 그들의 열정, 희망,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오늘날의 예술과 문화에 영감을 주고, 우리의 정신적 성장과 깊이 있는 사유를 이끌어냅니다
'인문학 탐구: 삶의 지혜 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음악사 - 낭만주의시대 (2) 2024.03.29 서양음악사 - 고전주의시대 (2) 2024.03.28 서양음악사 - 르네상스시대 (0) 2024.03.22 서양음악사 - 중세시대 (0) 2024.03.20 서양음악사 - 고대시대 (2) 2024.03.20